교육과정(야간)특징
한국어교육(주전공) 교육과정
학기 | 연번 | 과목명 | 학점 | 구분 |
---|---|---|---|---|
1. 봄 | 1 | 한국어학개론 | 3 | 필수 |
2 | 외국어학습과 교수의 원리 | 3 | 필수(영어교육 공통) | |
2. 가을 | 3 | 한국어이해교육론 | 3 | 필수 |
4 | 외국어교재개론 | 3 | 필수(영어교육 공통) | |
3. 봄 | 5 | 한국어문법교육론 | 3 | 필수 |
6 | 한국어표현교육론 | 3 | 필수 | |
4. 가을 | 7 | 한국의 현대문화 | 3 | 필수 |
8 | 한국어교육실습 | 3 | 필수 | |
합계 | 24 |
영어교육(부전공) 교육과정
학기 | 연번 | 과목명 | 학점 | 구분 |
---|---|---|---|---|
1. 봄 | 1 | 외국어학습과 교수의 원리 | 3 | 공통전공 |
2 | 어린이 영어지도 | 3 | TESOL 전공 | |
3 | AI기반 언어교육 개관 | 3 | 교재개발 전공 | |
4 | Genre Writing | 3 | 스킬 | |
2. 가을 | 5 | 읽기 및 쓰기지도 | 3 | 공통전공 |
6 | 듣기 및 말하기 지도 | 3 | 공통전공 | |
7 | 크리에이티브 드라마 | 3 | TESOL전공 | |
8 | AI 기초 프로그래밍 | 3 | TESOL & 교재개발 전공 | |
9 | 외국어교재개론 | 3 | 교재개발 전공 | |
3. 봄 | 10 | AI 디지털콘텐츠교수법 | 3 | 공통전공 |
11 | 프로세스 드라마 | 3 | TESOL전공 | |
12 | AI 기반 기초 통계 | 3 | TESOL & 교재개발 전공 | |
13 | ELT 교육과정 디자인 | 3 | 교재개발 전공 | |
4. 가을 | 14 | 게임기반 영어교육 | 3 | 공통전공 |
15 | Language Awareness | 3 | 공통전공 | |
16 | 논문/작품 연구 1 | 1 | 공통 전공 | |
17 | 영어지도 실습 | 3 | TESOL 전공 | |
18 | AI 활용 언어평가 | 3 | 교재개발 전공 | |
19 | AI 융합 교육 디자인 | 3 | 교재개발 전공 |
복수전공 요건
교육과정(야간) 시간표 샘플
한국어교육 과목개요
1. 한국어학개론
한국어의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의미론, 화용론 등 전 영역에 걸친 이론을 배우고 한국어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한다.2. 한국어이해교육론
한국어 듣기와 읽기 영역에 관한 이론을 익히고 효율적인 한국어 듣기와 읽기 교육 방안을 모색한다.3.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의 문법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학습자가 한국어 문법요소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이를 한국어 구사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연구한다.4. 한국어표현교육론
한국어 말하기와 쓰기 영역의 내용학적 지식을 익히고 이를 외국인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교수하는 방법을 연구한다.5. 한국어현대문화
현대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해 개관하고 그 배경을 탐구하여, 한국문화 교육의 기초를 마련한다.6. 한국어교육실습
강의와 수업 참관을 통하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실 수업을 이해하고 필수적인 교실 운영법을 익히고, 한국어 교육의 이론적 지식을 실제 현장에서 경험한다.7. 외국어학습과 교수의 원리
이 과정은 학생들에게 언어 학습 및 교수의 이론, 방법론, 문제점 및 실제에 익숙하게 한다. 제2언어 습득의 이론, 원칙 및 모델을 검토하고 L2 학습자를 위한 최신 언어교육 교수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한다.8. 외국어교재개론
이 과정은 교육과정 설계의 원칙과 언어 교육을 위한 교재의 분석 및 평가에 중점을 둔 과정이다. 이 과정의 목적은 시장에 나와 있는 언어교육 교재를 조사하고 분석하며, 학생들이 언어 교재를 선택하거나 교재를 개발할 때 스스로 평가할 수 있는 안목을 갖도록 돕는다.